[그림책, 세상을 그리다] 텅 빈 냉장고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져 맛있는 음식이 되듯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식사는 한층 따뜻하고 풍성하다. 한솔수북 제공
텅 빈 냉장고
가에탕 도레뮈스 글ㆍ그림, 박상은 옮김
한솔수북 발행ㆍ32쪽ㆍ1만1,000원
퇴근 후, 불 꺼진 집에 들어선다. 냉장고 문을 열어보니 마땅한 찬거리가 없다. 밥을 짓기도 귀찮다.
라면을 끊여 TV 앞에 앉는다. ‘먹방’이 화면을 점령하고 있다. 영상 속 군침 도는 음식과는 대조적으로 현실의 식탁은 초라하기만 하다. 도시에 사는 독신들의 평범한 저녁 풍경이다.
‘텅 빈 냉장고’는 최근에 나온 프랑스 그림책이다. 사각형의 아파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풍경이 마치, 냉장고 안을 층층이 들여다보는 것 같다.
허기진 저녁, 모두들 바쁜 하루를 보내느라 장을 보지 못했다. 거리의 악사인 앙드레이 할아버지에게는 말라빠진 당근 세 개가 전부다. 할아버지는 아파트 이층집에 사는 나빌 아저씨네 문을 두드린다. 아저씨도 마침 달걀 두 개와 치즈 한 조각으로 무얼 해먹을까 궁리하던 참이었다. 둘은 삼층에 올라가보기로 한다. 아이 둘을 키우는 산드로 부부는 피망과 쪽파를 가지고 있다. 다 같이 재료를 들고 사층에 올라가본다. 클레르 아가씨는 토마토를 내놓았다. 드디어 맨 꼭대기 층, 로잔 할머니는 버터와 우유, 밀가루를 꺼냈다. 더 올라갈 층이 없다는 게 아쉽기만 하다. 결국 가져온 재료들로 만족하며 모두들 궁리 끝에 함께 파이를 만들기로 한다. 그런데 베란다로 나가보니 놀랄만한 광경이 펼쳐진다.
독신가구의 비중이 높은 일본에서는 컬렉티브 하우스(Collectivehouse) 라는 개념의 주거 형태가 생겨났다. 개인적인 삶을 방해 받지 않으면서도 거주자들이 함께 식사나 모임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공동주택인 것이다. 당번을 정해 식사를 준비하고 함께 저녁식사를 함으로써 외로움과 고립감을 덜어낸다. 혼자이고 싶을 때 혼자이고 외로울 땐 함께 할 수 있다. 집이 연대와 소통, 공유의 개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의 작은 방, 사람들과 따듯한 저녁이 그리웠던 작가의 상상력이 그려낸 멋진 이야기!
음식재료의 다양한 색과 맛이 어우러지듯이, 모르는 사람들이라도 모두 어울려 식사를 한다면 그게 바로 축제가 아닐까?
소윤경 그림책 작가
- 한국일보 2016.04.02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설계' 건축가 자하 하디드 별세
기사 이미지 보기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설계한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31일(현지시간) 심장마비로 숨졌다. 향년 65세.
하디드는 이날 미국 마이애미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하디드는 이 병원에서 기관지염 치료를 받고 있었다.
이라크 바그다드 태생인 하디드는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영국에 유학을 간 이후 건축가의 길로 접어들었다. 1979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설계회사 자하-하디 건축사무소를 설립한 이래 굵직한 설계를 내놨다.
하디드는 2004년 여성 최초로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다. 우리에겐 2014년 3월 개관한 DDP를 디자인한 건축가로 잘 알려져 있다.
- 한국경제 2016.04.02
'소나무 사진가' 배병우의 경기도 파주 헤이리 작업실엔 40년간 찍은 사진만큼이나 책이 많다. 계단에도, 화장실에도, 손 닿는 곳마다 책이 소복하다.
현장에 나갈 때도 한쪽 손엔 카메라, 한쪽 손엔 책이다.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만권의 책을 읽고 만리의 길 걸으면 저절로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명대 서예가 동기창(董其昌)의 말을 실천 중이라는 이 예술가에게 영감을 준 책을 물었다.
- 조선일보 2016.04.02
▲이흥종씨 별세ㆍ규인(아주대 건축학과 교수) 규남(북경 제일펑타이 촬영고문) 규태(네오엔비즈 대표) 규옥(예일여중 교사)씨 부친상ㆍ박경철(휘봉고 교사)씨 장인상=31일 오전6시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6시 (02)3010-2263
- 한국일보 2016.04.01
△진혜숙 전정수장학회이사 별세, 김수연서화가·혜영경희사이버대교수입학홍보처장·대외협력실장·주연부산대미대외래교수·훈석작곡가 모친상, 주창희부천대교수·정명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단장·장운영변호사 장모상 = 1일 서울대병원. 발인 3일 6시 02-2072-2020
- 문화일보 2016.04.01
- 서울신문,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세계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 2016.04.02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