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7

[게시판]한국문화재정책학회 동계학술 세미나 개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문화재정책학회(회장 이삼열)는 15일 오후 1시30분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한국의 문화유산과 디지털 정책의 현재와 미래’란 주제로 2010년도 동계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경향신문 2010.12.13

무안 사찰서 불..요사채 일부 피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1일 오전 11시께 전남 무안군 무안읍 약사사의 요사채에서 불이 나 요사채 일부를 태우고 20여분 만에 진화됐다.

이 불로 요사채 내부 30㎡와 스님들의 소장품 일부가 불에 탔지만 문화재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사사에는 대웅전, 약사전, 서열당, 요사채 등이 있으며 약사전에는 전남유형문화재 제178호인 무안 약사 석불입상이 모셔져 있다.

소방당국은 "요사채 옆에 쌓인 쓰레기를 태우다 불씨가 옮겨 붙은 것 같다"는 관계자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레이디 가가 밀랍인형, 세계 7개 도시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뛰어난 음악성과 대중적 인기, 온갖 기행과 독특한 패션으로 화제를 뿌리는 팝 아이콘 레이디 가가의 밀랍인형이 세계 7개 도시의 ‘마담 투소 박물관’에서 9일 동시 전시에 들어갔다.

가가의 다양한 패션 스타일로 꾸며진 밀랍인형들은 실제 가가를 방불케 할 만큼 정밀하게 만들어졌으며 미국 뉴욕, 로스앤젤레스, 라스베이거스와 독일 베를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중국 상하이(上海)와 홍콩 등 7개 도시의 ‘마담 투소 박물관’에 전시됐다.

1802년 프랑스의 투소 부인이 만든 ‘마담 투소 박물관’은 전 세계 곳곳에 박물관을 운영 중이며 유명인사들의 실제 같은 인형 전시로 유명하다

-문화일보, 2010.12.10

‘갤러리 마당’ 전시 작가 공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KRA 한국마사회(회장 김광원)는 품격 있는 말 문화 보급과 예술활동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경마공원 내 마련된 복합 문화공간 ‘갤러리 마당’의 2011년 전시 작가를 공모한다. 말과 관련된 소재의 평면미술(영상 포함), 입체미술 작품을 제작하고 있는 참신하고 실력 있는 작가를 발굴, 소개하는 이번 공모에는 개인이나 단체 전시가 모두 가능하다. 30개 이상의 작품 사진이 첨부된 전시계획안 등의 구비서류를 e-메일로 접수하면 심사를 거쳐 총 5개팀을 선정하며, 선정된 작가는 2011년 4주간의 전시장 대여와 도슨트, 리플릿 등 홍보물 제작 지원 등을 받게 된다. 접수는 내년 1월 19~30일이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한국마사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문의: 02-509-1283, 월ㆍ화요일 휴무

-헤럴드경제 2010.12.10

[미술플러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화가 손연칠 ‘이 시대의 초상화’전

한국화가 손연칠(62)의 ‘이 시대의 초상화’전이 17일까지 서울 견지동 동산방 화랑에서 열린다. 동국대 불교미술학과 교수로 한국 화단에서 드물게 초상화 분야에 매진해온 작가는 대상의 내면을 꿰뚫는 인물화를 그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시인 고은, 영화감독 임권택, 춤꾼 이애주 등 문화계 인물 40여명의 초상화가 전시된다. (02)733-5877.

71명 작품 한자리에 ‘코리아 투모로우’

미술, 디자인, 건축 등 한국 미술의 내일을 이끌 작가 71명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은 ‘2010 코리아 투모로우’전이 13일까지 서울 대치동 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열린다. 미국 뉴욕 메리분 갤러리의 디렉터 토머스 아널드와 컬럼비아대 존 라이크만 교수가 기획에 참여한 전시는 ‘파생현실’ ‘색깔론자들’ 등 8개 주제로 구성됐다. (02)567-6070.

소마드로잉센터 아카이브 작가의 작품전
소마미술관은 소마드로잉센터 아카이브 작가 29명의 드로잉, 회화, 설치 작품 100여점을 소개하는 ‘내일-오픈 아카이브’전을 내년 3월 13일까지 연다. 2006년 국내 최초로 개관한 소마드로잉센터는 매년 작가 공모를 실시해 지금까지 국내외 작가 1411명을 지원했다. 관람료 3000원. (02)425-1077.

-서울신문, 2010.12.1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