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일본 미술평론가 나카하라 유스케(中原佑介)씨 타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일본의 미술평론가 나카하라 유스케(中原佑介)씨가 3월 3일 타계했다. 일본 동북지역의 쓰나미와 지진 재해로 비상사태가 선포된 12일, 뒤늦게 가족장으로 치루어진 그의 부음기사가 전해졌다.

나카하라씨는 1931년 일본 코베에서 출생했다. 1955년 京都大學대학원 物理學연구실의 대학원생신분으로 미술출판사 주최 제2회 미술평론공모에 응모했다.「창조를 위한 비평」이란 주제의 평론이 1등으로 수상, 미술계에 데뷔했다. 물리학 전공자로서 폭넓은 시점의 비평과 크고 작은 국내외 전시기획을 통하여 일본 현대미술을 리드했다.

일본의 국제전 그중에도 비엔날레의 성공모델로 평가되는 제10회 도쿄비엔날레 「人間と物質」전(1970년)이 바로 그의 기획전이었다.

1979년 京都精華大學교수로 79년-81년까지 이 대학 학장을 거쳐 퇴직 후 현재까지 명예교수로 후진을 양성하였다. 지난해까지 효고현립미술관 관장으로 미술관을 운영, 고희의 나이에 현역으로 활약하였다. 저서에는 1982년 미술출판사에서 출판된「現代彫刻」이 국내에도 번역 출간되어 있다.

평론가 나카하라씨는 한국 현대미술사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인물이다. 한국 모더니즘회화의 정수로 평가되는 모노크롬회화의 가치를 발견하고 일본미술계에 소개한 이론적 리더의 한 사람이었다. 1975년 도쿄화랑에서 기획한「다섯개의 백색 전」에 고 이일선생과 함께서문을 집필했던 것이다. 이후 크고 작은 한국 현대미술기획전의 서문과 심포지엄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전파에 기여하였다.

국제미술평론가연맹회원으로, 파리 상파울로, 베네치아 비엔날레, 도쿄비엔날레 등의 국제전 커미셔너를 역임했다. 상하이비엔날레, 하바나비엔날레 국제심사원, 1988년에는 서울 올림픽 미술전 국제위원 등을 역임 했다.

- 김영순(미술평론가)

‘반구대 암각화 보존協’ 울산시, 정부에 구성건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울산시가 물에 잠겨 훼손이 가속화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의 보존을 위해 ‘반구대 암각화 보존 정부대책 추진협의회’ 구성을 제안하고,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울산시는 15일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암각화 일대를 방문한 김황식 국무총리에게 울산시와 국토해양부 등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반구대암각화 보존 정부대책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가까운 시일내에 암각화 보존대책회의를 개최할 것을 요구했다.

-문화 2011.3.16

[인사]문화체육관광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대변인 최규학 △문화콘텐츠산업실 콘텐츠정책관 김갑수 △문화예술국 문화정책관 방선규 △관광산업국장 신용언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장 노태강 △미디어정책국장 심장섭 △홍보지원국장 송수근 △대한민국예술원 사무국장 강배형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 나종민

동아일보 2011.03.16

전국 130곳 미술대학 학장협의회 '전미대협' 18일 창립총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국내 미술대학 학장들의 협의 기구인 '전국 미술·디자인계열 대학장 협의회'(이하 전미대협)가 18일 오후 3시 서울 세종로 프레스센터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출범한다.

'전미대협'은 전국 130여개 대학의 미술, 디자인 계열 학장들로 구성됐다. 창립총회에서 초대 회장선출과 함께 그동안 준비위원회(위원장 김영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장)에서 연구해 온 미술·디자인 분야의 핵심과제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미대협'은 미술∙디자인 분야와 문화예술계 전반의 발전을 위해 전국 미술대학 교육정책은 물론 교육환경 및 여건 개선에 직접 발 벗고 나설 계획이다.

전미대협은 "이번 창립총회에서 최근 수년 동안 정부와 일부 언론계에서 실시해 온 대학평가방식의 불합리성과 비현실성을 비판하는 3개항의 '성명서'를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술공교육의 정상화, 미래지향적 미술대학의 입시정책, 대학미술교육의 발전 등, 미술대학의 시급한 과제들을 공동으로 연구, 개발하고 공동으로 대처, 정부와 문화예술계에 생산적인 대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아주경제 2011.03.16

한국예술경영학회의 제 6대 회장에 박양우교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한국예술경영학회의 제 6대 회장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박양우교수가 재선임됐다.임기는 2년.
한국예술경영학회는 문화예술 정책과 경영 분야에서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대표적 학술단체다. 박회장은 문화관광부차관과 중앙대부총장을 역임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예술경영학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표적인 학자로 알려져 있다.

-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2011.03.0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