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부산비엔날레 이두식위원장…中서 한-중수교 기념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두식 부산비엔날레 운영위원장(64ㆍ 홍익대 교수)이 중국 정부 초청으로 베이징의 중국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갖는다. 이 전시는 한중 수교 19주년을 기념하는 전시로, 11일 개막돼 20일까지 계속된다. 화려한 원색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한국적 추상의 길을 개척해온 이 교수는 오방색을 사용한 ‘축제’ 연작과 근래들어 차분한 톤으로 제작한 ‘풍경’ 시리즈 등 대표작을 선보인다.

경북 영주 출신으로 홍익대 회화과 및 대학원 졸업한 이 교수는 일본교토조형예술대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까지 한국 일본 대만 미국 독일 등 전세계에서 65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지난 1995년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서울), 중국미술관(베이징), 불가리아 국립미술관, 지미 카터 재단 등에 소장돼 있다. 또 이탈리아 로마의 Flaminio 지하철역에도 그가 제작한 벽화(모자이크)가 설치돼 있다.

- 헤럴드 경제 2011.5.11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어번폴리’ 내일 착공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9월2일∼10월23일) 특별프로젝트로 추진되는 어번폴리(Urban Folly) 착공식이 12일 오전 11시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 ‘쿤스트할레 광주’에서 열린다.

어번폴리는 22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도미니크 페로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광주읍성터, 푸른길 등 13곳에 기념할 만한 건축조형물을 세우는 기획이다.

이날 착공식에는 강운태 광주시장, 이용우 광주비엔날레 상임부이사장, 승효상 광주비엔날레 공동감독, 조성료 건축가를 비롯한 큐레이터들이 참석한다. 어번폴리 프로젝트 경과보고, 강운태 광주시장과 조성룡 건축가 인사말에 이어 축원식, 전시회 관람, 다과 퍼포먼스 등의 시민 참여 행사로 진행된다.

또 12일∼6월12일까지 ‘쿤스트할레 광주’에서는 조성룡(한국), 도미니크 페로(프랑스) 등 참여 건축가의 대표작과 어번폴리 작품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는 ‘어번폴리 참여 건축가 전시회’가 열린다. 문의 062-608-4247

- 광주일보 2011.5.11

[문화소식] 경주 안압지 출토 판불 특별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주 안압지 출토 판불 특별전
국립경주박물관은 신라 궁궐인 경북 경주시 월성 안에 있는 안압지 연못에서 나온 판불 10점(보물1475호)을 한자리에 모아 6월 26일까지 전시한다. 신라 왕실에서 제작해 모시던 아름다운 불상이다. 판불은 대개 동판을 판에 대고 두드려서 만들지만 안압지 판불은 밀랍 틀에 금동을 부어 만들어서 조각이 더 섬세하고 입체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 풍속화실 신설
국립중앙박물관에 처음으로 풍속화실이 생겼다. 서화관 회화실 안에 꾸몄다.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대표작 2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조각ㆍ공예관의 불교조각실에 전시해 온 금동반가사유상은 국보83호에서 국보78호로 교체했다. 새 금동반가사유상은 초승달과 해 모양이 장식된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걸작이다.

*경기도립박물관 경기도자 100년사 특별전
경기도립박물관은 경기 지역 도자기의 최근 100년사를 돌아보는 특별전을 7월 3일까지 연다. 경기 광주시 이천시 여주군 일대는 조선 시대 왕실 도자기를 만드는 가마가 밀집했던 내력이 이어져 지금도 도자 산업의 중심지다. 전시는 해방 후 한국 도자의 1세대 도공들로 이 일대에서 활동한 유근형 안동오 지순택의 작품을 비롯해 옛 사진과 신문기사, 1960, 70년대 도자 관련 행사 홍보물 등을 모았다.

- 한국일보 2011.5.11

현장을 놓지 않는 여든넷의 사진작가 최민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직업의 세계-일인자(교육방송 밤 10시40분) 사진작가 최민식은 여든넷의 나이에도 아직 사진을 찍는다. 그리고 대학교, 도서관, 문화원 등 여러 곳에서 사진을 가르친다. 학생들과 함께 현장실습을 가고, 학생들이 찍은 사진을 놓고 함께 토론한다. 어떤 사진이든 자신이 감동하고, 또 감동을 줄 수 있는 피사체를 담으라는 것이 그의 사진 철학이다. 그의 사진에 독특한 울림이 있는 이유는 남다른 경험의 깊이다. 지독하게 가난했던 어린 시절, 1년에 5개월은 가족이 먹을 음식이 없어서 온갖 힘든 일을 해야 했다. 그렇게 살아온 과거가 있기에 그의 사진에는 진심이 있다.

이순환씨 등 7명 ‘예술가의 어머니’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소설가 박성원씨의 어머니 이순환(81·위 사진)씨와 개그맨 이수근씨의 어머니 김산옥(63·아래)씨 등 7명이 ‘2011 예술가의 장한 어머니’로 선정됐다.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작품이 소장된 현대미술작가 정연두씨의 어머니 권영자(66)·세계무대에서 활동하면서 사회공헌 활동도 펼쳐온 첼리스트 송영훈씨의 어머니 김훈(71)씨는 각각 미술과 음악분야 예술인의 장한 어머니로 선정됐다.

정가와 종묘제례악 등 국악의 전통을 계승한 문현씨의 어머니 이종순(77), 연극배우 길해연 씨의 어머니 김복희(71), 홍승엽 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의 어머니 정임이(80)씨 등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16일 오전 10시30분 국립중앙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시상식을 연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