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퓰리처상 수상작으로 본 70년 현대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먹먹하거나 분노하거나...

퓰리처상 사진
핼 부엘 지음|박우정 옮김|현암사|332쪽|5만5000원

1985년 미국 보스턴 글로브의 스탠 그로스펠드 기자는 에티오피아로 향했다. 1년 전인 1984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전쟁에 내몰린 어린이를 다룬 사진으로 퓰리처상을 받은 그가 아프리카로 간 이유는 기근과 내전 때문. 그는 한 난민촌에서 극도의 굶주림으로 희망을 잃은 눈빛의 어린이와 엄마를 발견하고 셔터를 눌렀다. 그리고 몇 시간 후 이 아이는 수용돼 있던 난민수용소에서 세상을 떠났다. 에티오피아의 비극을 전 세계에 알린 이 작품은 그해 다시 한 번 그에게 '저널리즘의 노벨상' 퓰리처상을 안겼다.

'퓰리처상 사진'은 1942년 퓰리처상에 사진부문이 신설된 후 2011년까지 70년간 수상작들을 모았다. AP의 사진국장을 역임한 핼 부엘은 촬영 당시의 상황 설명과 각 해에 일어난 주요사건을 작은 사진으로 배치한 70년간의 현대사를 구성했다.

사진들은 끔찍하다. 우리 사는 세상이 원래 그랬는데 우리가 잠시 잊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알려주듯이. 6·25전쟁 당시 무너진 대동강철교에 하얗게 매달린 피란 행렬(1950), 베네수엘라 내전 당시 죽어가는 반군에게 종부성사를 주기 위해 총알이 빗발치는 거리로 나선 사제(1963), 케네디 암살범 오스왈드를 저격하는 현장(1964), 네이팜탄을 맞고 발가벗은 채 울부짖는 소녀(1973), 좌우익 학생 충돌 끝에 시신을 매달아 놓고 또 때리는 태국 학생들(1977), 이슬람혁명 후 쿠르드인을 집단 총살하는 정부군(1980)…. 전쟁과 분쟁, 학살은 도처에서 벌어졌다.

'감동'도 빼먹지 않는다. 1973년 브라이언 랭커 기자가 촬영한 '탄생'은 기획의 승리. 당시 막 확산되던 라마즈 분만법으로 출산하는 친구 내외를 따라 산부인과에 간 랭커 기자는 진통 끝에 무사히 출산하고 기뻐하는 아기 엄마와 산모를 붙잡고 있는 아빠, 탯줄이 그대로 연결된 아기까지 한 프레임에 담았다. 생명의 탄생 순간을 리얼하게 포착한, 당시로써는 획기적 사진이었다.

-조선일보 2011.11.5

[북카페] 한국 전통 목가구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한국 전통 목가구
박영규 지음|한문화사 | 400쪽|4만8000원

문화재위원인 저자가 전통 목가구의 모든 것을 담았다. 나주반, 해주반과 강화반닫이 등 전통 목가구들의 구조와 재질, 상세도면을 비롯해 경첩 110종, 감잡이 103종, 들쇠 83종 등 갖가지 모양의 장식품 사진까지 다채롭다.


● 작업실
이상현·이안나 지음 | 우듬지|264쪽|1만5000원

김동유 등 화가 4명, 주명덕 채승우 등 사진가 4명을 비롯해 패션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건축가, 디자이너 각 4명씩 모두 24명의 예술가들의 작업실을 직접 찾아 작품이 탄생하는 현장과 작품에 얽힌 이야기를 적었다.

- 조선일보 2011.11.5

사진기자협회장 김정근씨 선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사진기자협회는 지난 4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전국 신문·통신사 사진기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2차 정기총회를 갖고 제40대 협회장에 경향신문 김정근(사진) 차장을 선출했다.


-중앙일보 2011.11.7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과장급 전보
▲장관실 장관비서관 김정훈
▲문화콘텐츠산업실 콘텐츠정책관실 영상콘텐츠산업과장 박병우
▲국립현대미술관 교육문화창작스튜디오팀장 정인규
▲세계관광기구(UN WTO) 파견 김재현

- 연합뉴스 2011.11.04

제헌의원 故 유성갑 선생 불교 자료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헌의원 고(故) 유성갑(1910~ 1950) 선생의 근세 불교 자료가 4일부터 15일간 서울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1층 로비에서 전시·공개된다. 유족들이 지난 7월 조계종에 기증한 85건의 기록과 유품들이다.

유성갑 선생은 조계종 종정을 지낸 동산(東山·1890~1965)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승려 출신. 일본 유학 후 환속했고, 일제 말에는 만주에서 한인학교를 세웠으며 1948년 초대 국회의원(전남 고흥)을 역임했고 6·25전쟁 중 북한군에 의해 처형당했다. 전시에는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명인 용성(龍城) 스님과 은사인 동산(東山) 스님의 친필 서한,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칙과 유학생 명부, 동산 스님의 승적부, 일제강점기 범어사 강원에서 발행한 졸업증서 등 근세 불교 자료가 나온다.

-조선일보 2011.11.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