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한향림 옹기박물관장, (사)한국현대도예가회 이사장에 선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향림 옹기박물관장이 (사)한국현대도예가회(IAC. International Academy of Ce-ramics 회원)의
제4대 이사장으로 선출되어 2012년 1월부터 업무에 들어간다.

문화재연감 2011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문화재연감 2011>을 발간했다. 총 9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었고 785쪽 비매품.

-연합뉴스, 2011.12.15

한국역대서화가 사전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광복 이후 축적된 한국미술사의 성과를 수록한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韓國 歷代 書畵家 事典)'을 발간했다.

이 사전은 2007년~2011년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한국미술사학계가 협력, 130명의 집필진이 참여해 완성했으며 우리나라 역대 서화가 2260명의 예술 활동에 대한 방대한 분량을 담았다.

지난 1928년 우리나라 서화가 인명사전의 효시인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이 발간된 후 역대 서화가들의 약력을 수록한 사전류는 간간히 출간돼 왔다. 그러나 새로운 인물과 자료가 지속적으로 발굴됨에 따라 보다 풍부한 정보를 수록한 사전 발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런 점에서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은 '근역서화징' 이후 가장 방대한 최초의 서화가 종합사전이다.

이 사전에는 삼국시대부터 1945년까지 활동한 우리나라 화가·서예가·화승(畵僧) 중 학술적 검토를 거친 작가들에 대한 원고와 작품 사진 등이 수록됐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남긴 안견(安堅)을 비롯해 기록에 이름만 전하는 서화가들까지 유·무명 작가들의 활동상을 최대한 복원, 체계적으로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대표 작가들의 경우 자세한 약력 복원은 물론, 시기별 작품 경향, 사승(師承) 관계, 주요 작품, 후대의 평가 등의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사전은 총 2747쪽의 방대한 사전으로 상편이 ㄱ - 0 까지 1551쪽 / 하편이 ㅇ - ㅎ 까지 2747쪽으로 구성되었다. 작가의 작품세계, 작품사진, 주요작품 목록이 실려졌고 각 인물 집필자를 밝혀 놓고 있다. / 비매품

-연합뉴스, 2011.12.15

광주디자인센터 장상근 원장 선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장상근 광주시건설협회 상임부회장이 광주디자인센터 차기 원장으로 선출됐다.

광주시는 14일, 광주디자인센터에서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장 부회장이 임기 3년의 3대 원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장 부회장은 광주시와 지식경제부의 승인을 거쳐 내년 2월 13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장 부회장은 광주시에서 건축과장, 종합건설본부장, 건설방재국장 등을 역임한 뒤 지난 4월 명예퇴직했다.

-광주일보 2011.12.15

김보현 화백, 65년 작품의 모든 것 화집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조선대 첫 교수로 미국 뉴욕에서 활동중인 원로화가 김보현(94) 화백의 작품 세계를 담은 화집이 발간됐다.

조선대미술관은 자신과 아내 실비아 올드의 작품 390여점을 기증한 김 화백의 뜻을 기려 ‘김보현 화집’(전 3권)을 냈다. 이 화집에는 지난 65년 동안 김 화백이 그린 모든 그림을 담았다.

경남 창원이 고향인 김 화백은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해 대구에서 초등학교를 마친 후 동경에 유학, 명치대학 법과와 태평양 미술학교를 동시에 다녔다. 여순사건 때 학생들과 야외스케치를 나갔다가 좌익혐의로 몰려 구속되는 등 고초를 겪은 뒤, 지난 1955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에 교환교수로 가게 되면서 미국에 정착하게 됐다. 전후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대표적 전시였던 ‘미국 미술 50년전’(1955년)에 포함됐을 정도로 일찌감치 뉴욕 화단의 주목을 받아왔다.

한편 조선대는 지난 9월 김 화백과 그의 아내 실비아 올드 여사의 화업을 기리는 ‘김보현·실비아 올드 미술관’도 개관했다. 문의 062-230-7826.

-광주일보 2011.12.15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