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대구미술관 학예실장에 이수균씨 임명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대구미술관 학예실장으로 이수균(사진) 씨가 임명됐다. 이 씨는 이화여대 서양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파리1대학 미술사전문연구과정 이수, 파리 8대학 조형예술학 석사를 거쳤다. 대림미술관 학예실장,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을 역임했다.

서울시립미술관장 김홍희 씨 내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시는 김홍희 전 경기도미술관장(53·여·사진)을 서울시립미술관장으로 내정했다고 23일 밝혔다. 김 씨는 이화여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콩코디대에서 현대미술사로 석사, 홍익대에서 서양미술사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동아일보 2011.12.24

신라 ‘중성리비’ 등 14건 보물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 비석 중에서 제작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포항 중성리비(中城里碑·왼쪽 사진) 등 14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2일 밝혔다.

2009년 5월 경북 포항시 중성리에서 발견된 중성리비는 신라 비석의 초기 양식으로 신라 지명과 인명, 관직 및 관등명이 기록된 데다 그 첫머리에 적힌 ‘신사(辛巳)’라는 간지를 통해 건립 시기(501년 추정)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또 조선시대 효종이 이순신에게 노비 5구(口)를 지급하면서 발급한 ‘사패교지(賜牌敎旨·오른쪽)’와 정조가 이순신의 관직을 영의정으로 높이면서 발급한 ‘증직교지(贈職敎旨)’, 짐승 다리를 갖춘 국내 유일한 수각(獸脚) 향로인 전북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조선시대 산학(算學)의 기본서인 ‘양휘산법(楊輝算法)’ 등이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국민일보 2011.12.23

서암전통문화대상에 이춘봉 선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화천그룹 산하 서암문화재단(이사장 권영렬)의 `서암전통문화대상` 제1회 수상자로 무형문화재 인당 이춘봉 선생(사진)이 선정됐다.

전통 현악기 부문 악기장인 이춘봉 선생은 전통악기의 제작 및 복원 활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1971년 악기 제작에 입문한 이 선생은 1978년 제3회 인간문화재 작품전승공예대전에서 가야금ㆍ거문고 부문 특별우수상을 받았으며 1995년 무형문화재로 등록됐다. 올해는 고대악기의 원리와 현대과학을 접목시킨 전통 현악기를 제작했다.

22일 열린 시상식에서 이 선생은 기념패와 상금 3000만원을 받았으며 향후 서암문화재단으로부터 지속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서암전통문화대상은 전통문화예술장인을 포상해 우리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고 문화예술 창달에 기여하기 위한 상으로 `모두가 함께 공유할 보편적 가치를 담고 있는 전통문화의 보전과 발전`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서암문화재단은 화천그룹 설립자인 고(故) 서암 권승관 명예회장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받들어 유가족과 계열사들이 만든 재단법인이다.

- 매일경제 2011.12.23

정몽주 초상 등 11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경기도박물관이 소장한 정몽주 초상 등 11건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 1110-2호로 새로 지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정몽주 초상은 고려말 조선초 정몽주 생존시 제작된 원본은 아니지만 원본의 양식적 특징을 충실히 반영한 조선 중기 때 이모본(移摸本, 복사본)이다. 문화재청은 정몽주 초상 중에서는 제작 시기가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보물 제1110호 초상보다 70년가량 앞선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 문신 초상화 중에서는 유학자 복장을 한 이른바 유복본(儒服本) 초상화의 전형성을 보여주는 허전(許傳) 초상(1728호, 경기도박물관) 등도 보물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문화재 성격으로 볼 때 사적보다는 건조물(유형문화재)로 더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은 서울 살곶이 다리(사적 160호), 창녕 영산 석빙고(사적 169호), 서울 관상감 관천대(사적 296호)는 각각 보물로 변경 지정했다.

또 전남 고흥 운대리 도요지 중 발굴조사가 끝난 1호와 2호 요지(窯址, 가마터)는 사적 519호로 지정했다.

-국민일보 2011.12.2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