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서울시의회 본관서 '상처와 치유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시의회는 13일부터 26일까지 시의회 본관 1층 중앙홀에서 '상처와 치유전(展)'을 연다고 9일 밝혔다.

무료로 전시되는 30여점의 서양화는 상처를 치유하고 스스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정물화로, 서초창작회가 제공했다.

서울시의회 중앙홀 전시장 대관은 이번이 45번째다.

시의회는 "인체의 일부인 발을 모티브로 삼아 인간에게 내재한 다양한 심리 상태와 아픔, 상처를 극복하는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작품은 주목할 만하다"고 소개했다.

- 연합뉴스 2012.02.09

대구경북 컬처 매니지먼트 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대구경북 컬처 매니지먼트 포럼’은 2차 포럼으로 ‘개관전을 통해 본 대구미술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포럼을 개최한다. 10일 오후 2시 대구경북연구원 18층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이번 포럼은 김태욱 대구사진연구소장의 진행으로 하윤주 온아트 연구원의 발제로 진행된다. 지정토론은 김재환 경남도립미술관 큐레이터, 김기수 대구가톨릭대강사가 맡고 참석자 전원이 자유토론을 하게 된다.

‘대구경북 컬처 매니지먼트 포럼’은 지역민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문화예술의 주요 현안에 대한 열린 논의의 장을 펼쳐 문화예술도시 대구와 문화유산의 보고 경북이 갖는 위상을 재정립할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1차 포럼은 대구문화재단의 역할에 대해 열렸으며 앞으로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지역의 세계문화유산 홍보, 대구KT&G 리노베이션을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053)810-3336.

- 매일신문 2012.2.9

광주시립미술관 22번째 소식지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광주시립미술관(관장 황영성)이 자신들이 기획한 전시회를 소개하고, 미술계 소식을 들려주는 ‘미술관 소식지(GMA NEWS)’ 제22호를 발간했다.

이번 소식지에는 미술관 본관, 상록전시관, 어린이 갤러리에서 개최되고 있는 전시정보와 미술관 문화센터 2011년 겨울학기 프로그램, 미술관 실무연수교육과정 운영, 창작스튜디오(양산동, 북경) 등이 담겼다.

또 최근 단행한 미술관 조직개편, 중외공원 내 도로개방 등 다양한 미술관 소식들을 게재했다.

소식지는 국공립미술관 및 갤러리, 미술인 등에게 우편·발송되며,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시청, 일선 구청, 문화기관, 광주지역 주요 호텔, 관광안내소 등에 비치된다. 문의 062-613-7151.

- 광주일보 2012.2.9

예술의 거리 활성화 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인사동 쌈지길과 전주 한옥마을 성공 사례를 통해 광주 예술의 거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 포럼이 열린다.

2011아트로드 프로젝트(예술총감독 박성현)은 10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궁동 예향화랑 1층에서 ‘예술의 길 활성화와 문화특구 지정을 위한 예술의거리 포럼을 개최한다.

이날 포럼에서 천호선(서울 인사동 쌈지길’ 전 대표)와 박시도(‘사단법인 수을’ 대표씨가 각각 ‘인사동 활성화를 위한 쌈지길의 역할 설정’ ‘아직 끝나지 않는 전주 한옥마을의 성공’이라는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한다. 문의 062-224-0907.

- 광주일보 2012.2.9

문화재청 `자연유산 민속행사'에 도내 8건 선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영월 하송1리 은행나무 동제(洞祭) 등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대상으로 하는 도내 8건의 민속행사가 문화재청이 지원하는 2012년도 자연유산 민속행사에 선정됐다. 천연기념물 제76호인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는 수령이 1,100여년으로 추정되는 29m 높이의 노거수(老巨樹)로 이 나무에 정성을 다해 빌면 자식을 낳는다는 전설이 전해져 주민들이 신성시하고 있다.

올해 지원을 받게 된 동제는 마을사람들이 정성스럽게 음식을 마련하고 예를 갖춘 제사를 지내면서 질병이나 재앙이 없어지고 농사가 잘되기를 비는 기원제이다.

이외에도 도내에서는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95호) 영등제 △삼척 갈전리 느릅나무(272호) 서낭제사 △ 원주 원성 성남리 성황림(93호) 성황제 △삼척 궁촌리 음나무(363호·이상 천연기념물) 궁촌리 단오제 △강릉 소금강(1호) 청학제 △태백 검룡소(73호) 한강 발원제 △영월 청령포(50호·이상 명승) 단종대왕제 등이 뽑혔다.

강원일보 2012.2.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