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3

[2012.10.22]지역문화재단연합 ‘차기정부 정책’ 토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회장 장신규·사진)는 24일 오후 3시 국회 의정관 101호에서 ‘차기정부 지역문화 진흥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 콘퍼런스’를 연다.

김세훈 교수(상명대 문화예술경영학과)의 사회와 류정아 박사(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융합연구실장)의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유승희 의원, 강윤주 교수(경희사이버대), 김보성 원장(경남문화콘텐츠진흥원), 조선희 대표(서울문화재단) 등의 토론으로 진행된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가 후원하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모아진 의견은 차기정부에 바라는 지역문화 진흥정책 대안으로 대선후보들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한겨레 2012.10.22 

[2012.10.22]채플린 중절모 등 이랜드 소장품 5점 英으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랜드가 가지고 있는 영화 관련 소장품이 영국 빅토리아 앨버트 왕립박물관에 전시된다.


이랜드그룹은 21일 “영국 왕립박물관이 20일부터 열고 있는 할리우드 의상 전시회(Hollywood Costume)에 찰리 채플린의 중절모 등 소장품을 대여한다.”고 밝혔다.

이 전시회는 지난 100년간의 미국 할리우드 역사상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일반에 공개된 적이 없던 100점의 의상·소품을 선보이는 자리다.

전시 총책임자인 데보라 랜디스 런던예술대학 교수는 전시를 위해 지난 5년 동안 전 세계의 박물관, 영화사, 개인소장가 등을 찾아다녔다. 이랜드는 랜디스 교수의 요청으로 전시에서 모두 다섯 점을 선보인다.

찰리 채플린이 영화 ‘황금광 시대’(1925년)에서 썼던 중절모와 대나무지팡이를 비롯해 ‘밀드레드 피어스’(1945년)에서 조앤 크로포드가 입었던 의상, 캐서린 햅번과 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1936년)와 ’헬로 달리’(1969년)에서 각각 선보인 의상 등이다. 해외 유명인 소장품 경매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이랜드는 28개의 아카데미상 트로피를 비롯해 7000점이 넘는 영화 관련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다.


 

- 서울신문 2012.10.22

 

[2012.10.22]만해 한용운 묘소 국가문화재 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 구리시는 교문동의 만해(萬海) 한용운 선생 묘소(사진)가 이달 중 국가문화재인 '항일독립운동 유공자 묘소'로 등록된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 8월 한용운 선생 묘와 이준 열사 묘 등 독립유공자 7명의 묘소를 국가문화재로 등록예고했다. 한용운 선생 묘소는 서울 중랑구와 구리시에 걸쳐 있는 망우산공원묘지에 있지만 행정구역상 구리시에 속한다.


 

- 한국일보 2012.10.22

 

[2012.10.19]원로 서예가 정주상씨 타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예가 월정 정주상 한국난정필회 회장이 19일 오후 1시 타계했다. 향년 87세.


1925년 경남 함양 태생인 고인은 약관 초등학교 교사 시절부터 서예 교육에 직·간접으로 종사하면서 반세기에 걸쳐 서예교과서를 계속 집필했다. 1970년대 초에는 한국 최초의 서예잡지를 창간하기도 했다. 서학도들의 임서력(臨書力)을 기르기 위한 '임서교실시리즈' 20책을 편저하기도 했다.

특정인을 사숙하지 않고 독학으로 서예를 공부해 초서의 대가로 성가했다. 공모전에 초연한 고인은 개성미 강한 서풍을 빚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족으로 부인 이귀년 씨와 자녀 연천(뉴질랜드 거주)·연일(한국외대 교수)·영아·인아 씨, 사위 김용구·이봉우 씨, 며느리 신정실·장경미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영안실 11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21일 오전 7시.


- 연합뉴스 2012.10.19

[2012.10.20]사진 아닙니다… 극사실화 김대연·최정혁 2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대연`최정혁의 2인전 '가을의 향기'가 11월 4일까지 아트갤러리 청담에서 열린다.

포도를 그리는 작가 김대연과 사과를 그리는 최정혁의 극사실회화 2인전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봄의 향기' 전에 이은 두 번째 전시다.

포도를 극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김대연의 포도는 실제보다 더 포도 같은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빛이 투과되어 영롱하게 빛나는 포도알은 포도의 중립적인 물질성에 바짝 다가가는 듯해도 색채와 형태의 조화로 차별화된 미학을 선보인다. 포도를 극사실로 표현한 작품에는 상상의 여백이 남겨져 있다. 서로 다른 색채와 빛의 반사를 표현한 포도는 작가가 만들어낸 아름다운 세계다.

최정혁의 작품에는 붉고 탐스러운 사과와 함께 사과꽃이 피어 있다. 눈이 수북이 쌓여 있는 사과는 작가가 설정한 '가상'이다. 사진보다 더 치밀한 작가의 그림은 치밀한 묘사와 섬세한 감수성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시릴 만큼 흰 눈과 붉은 사과의 대비는 시각적 쾌감을 선사한다.  

이 두 작가는 한국적 흐름을 계승하면서 한국적인 요소를 부각시켜 서구와는 다른 방식의 극사실주의를 선보인다. 054)371-2111

 

-매일신문 2012.10.2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