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2

[2013.07.25]김진숙 박사 고려석불 답사기 펴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내 삶의 쉼표, 불교미술산책’(올리브그린)의 저자 김진숙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소 연구원이 이번엔 고려석불의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현장 답사기 ‘고려석불의 조형과 정신(참글세상·사진)을 펴냈다. 고려석불은 재래 신앙에서 성스럽게 여기던 암석에 조성되었기에 본래의 신령스러움과 최대한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도록 했던 것으로 책에서 다룬 고려석불은 미술사적 관점뿐만 아니라 종교 예술로서 나아가 재래 신앙과의 결합을 보여준 가장 한국적인 양식으로 가치를 부여한다.


- 세계일보 2013.07.25

[2013.07.23]기업, 문화예술 1602억 지원… “작년 1.5%↓… 2년연속 감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세계적인 경기 부진 속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액이 2년 연속 감소했다. 


한국메세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액은 총 1602억7000만 원으로 전년 1626억9000만 원에 비해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지원금은 기업 직접 지원금 1545억1400만 원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조건부 기부금 57억5800만 원을 더한 액수다. 이번 조사는 국내 매출액 및 자산총계 기준 상위 500대 기업과 한국메세나협회 회원사 등 총 654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협회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계속 하락세를 보이던 지원액이 2010년 경기 회복과 함께 잠시 반등했지만, 그 뒤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2년 연속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지원 건수도 1608건에서 1357건으로 줄어 15.5% 하락했다. 지원 금액과 건수가 감소한 데 반해 지원 기업 수는 전년 509개사에서 566개사로 11.2% 늘어났다.


- 문화일보 2013.07.23

[2013.07.23] 미 국방부에 '혈맹 우의' 그림 기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방부는 2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국전 참전ㆍ정전협정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한국군 대표단이 미군의 6ㆍ25 참전에 감사하는 의미를 담은 그림(사진)을 기증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그림은 '제6회 이당 미술상'을 수상한 이성근(65) 화백이 6ㆍ25전쟁 당시 폐허와 오늘날 발전한 한국의 모습을 한국 전통회화로 그린 작품이다. 가로 45㎝, 세로 45㎝ 크기의 그림 한가운데에는 'Thank You United Sates of America'라는 영문과 함께 한국과 미국 국기 등이 새겨져 있다. 이 작품은 6월18일 개장한 미국 국방부(펜타곤) 내 한국전 기념관에 전시된다.


미측 정전기념 행사에는 대통령 특사인 김정훈(새누리당 의원) 국회 정무위원장과 함께 정승조 합참의장 등 군 대표단도 참석한다.


- 한국일보 2013.07.23

[2013.07.23]이스라엘 문화재청 소속 고고학자들 “다윗왕 궁전터 발견” 주장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스라엘에서 기원전 10세기 무렵 유대왕국을 통치한 다윗왕의 궁전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견됐다고 AP통신이 22일 보도했다.


히브리대학과 이스라엘 문화재청 소속 고고학자들은 예루살렘 서쪽의 고대 요새 도시 키르베트 케이야파에 대한 발굴 작업 도중 다윗왕 궁전터를 처음으로 찾아냈다고 주장했다.


요시 가르핑켈 히브리대학 고고학자는 “키르베트 케이야파는 다윗왕 시대 이후 고대 도시 가운데 지금까지 발굴된 것 가운데 최고”라면서 “다윗왕이 직접 이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탄소연대측정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키르베트 케이야파가 기원전 10세기를 전후해 세워진 것으로 보고 있다. 발굴된 15m의 저장고는 왕국 각지에서 세금으로 거둬들인 물품을 보관하는 왕실창고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가르핑켈은 “다윗왕이 아직 발굴되지 않은 예루살렘의 모처에서 상주하면서 키르베트 케이야파와 다른 궁전을 잠깐씩 방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언덕 위에 키르베트 케이야파를 지은 것은 도시국가 사이에 전쟁이 빈번히 일어났던 시기 통치자가 높은 지대에 안전한 장소를 확보하려는 의도를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부 학자는 키르베트 케이야파가 고대 이 지역을 통치했던 다른 왕국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국민일보 2013.07.23

[2013.07.23]옻칠 채색 ‘채화칠장’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옻칠에 천연안료를 배합해 공예품 표면을 아름답게 채색하는 전통공예인 채화칠(彩畵漆)을 하는 장인인 채화칠장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채화칠장을 중요무형문화재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하고, 이의식(59)씨를 보유자로 인정 예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채화칠은 삼국시대 이래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성행한 칠기장식기법으로 나전칠(鈿漆)이 창안되기 이전 우리 칠기장식의 대표적인 문양 표현 방식이다. 이의식씨는 전북 무형문화재 제13호 옻칠장(1998년 인정) 기능 보유자로, 1968년 이후 꾸준히 전승활동을 하면서 칠공예인으로 명성을 쌓았다.



- 서울신문 2013.07.2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